무료 슬롯 머신 다운 받기 능엄경 ()

대불정여래밀인수증료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언해)
대불정여래밀인수증료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언해)
불교
문헌
불교의 이치와 수행의 방법을 구체적으로 제시한 불교경전. 불교입문교재.
이칭
이칭
수능엄경, 대불정여래밀인수증요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무료 슬롯 머신 다운 받기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능엄경』은 불교의 이치와 수행의 방법을 구체적으로 제시한 불교경전이자 불교입문교재이다. 한국불교 근본경전 가운데 하나로 총 10권으로 이루어져 있다. 『금강경』·『원각경』·『대승기신론』과 함께 불교 전문 강원무료 슬롯 머신 다운 받기 가르치는 네 교과목 중 하나로 채택되어 학습되었다. 원명은 『대불정여래밀인수증요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이다. 소화엄경이라 불리면서 널리 독송되었던 이 경은 각 권에 수록된 내용들이 모두 한국불교의 신앙과 보살행에 큰 영향을 끼쳤다. 크게 유행했던 만큼 다양한 판본이 전해오고 있으며, 『능엄경』에 대한 고승들의 주석서도 많은 판본이 전해지고 있다.

정의
불교의 이치와 수행의 방법을 구체적으로 제시한 불교경전. 불교입문교재.
내용

무료 슬롯 머신 다운 받기불교 근본경전 중의 하나. 10권.『금강경』 · 『원각경』 · 과 함께 불교 전문강원의 사교과(四敎科) 과목무료 슬롯 머신 다운 받기 채택되어 학습되었다. 원명은 『대불정여래밀인수증요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大佛頂如來密因修證了義諸菩薩萬行首楞嚴經)』이며, 줄여서 『대불정수능엄경』 · 『수능엄경』이라고도 한다.

인도의 나란타사무료 슬롯 머신 다운 받기 비장(祕藏)하여 인도 이외의 나라에는 전하지 말라는 왕명에 의해 당나라 이전에는 중국 및 우리 나라에 전래되지 않았다고도 하며, 중국무료 슬롯 머신 다운 받기 후대에 찬술한위경(僞經)이라는 설이 지배적이다. 소화엄경(小華嚴經)이라 불리면서 널리 독송되었던 이 경은 전 10권의 각 권에 수록된 내용들이 모두 무료 슬롯 머신 다운 받기불교의 신행(信行)에 크게 영향을 미쳤다.

제1권무료 슬롯 머신 다운 받기는 칠처징심(七處徵心)을 주제로 하고 있다. 석가모니가 제자 아난과의 문답을 통하여 마음을 어느 곳무료 슬롯 머신 다운 받기 얻을 수 있는가를 밝힌다. 마음은 몸안[在內], 몸밖[在外], 감각기관[潛根], 어둠으로 감춰진 곳[藏暗], 생각이 미치는 곳[隨合], 감각기관과 대상의 중간지점[中間], 집착하지 않는 곳[無着], 그 어느 곳에도 있는 것이 아님을 밝혔다. 제2권무료 슬롯 머신 다운 받기는 깨달음의 본성이 무엇인가를 밝히고, 깨달음으로 나아가는 과정을 설한다. 물질과 나, 몸과 마음, 본질과 작용 등은 둘이 아니며, 오음(五陰:色 · 愛 · 想 · 行 · 識)은 모두가 허망하여 자연도 인연도 아님을 설한다.

제3권무료 슬롯 머신 다운 받기는세간(世間)의 만법(萬法)이 모두 여래장묘진여성(如來藏妙眞如性)이라 하여 마음의 영원불멸성을 깨우치고 있다. 제4권무료 슬롯 머신 다운 받기는 여래장(如來藏)이 무엇인가를 밝히고, 중생들이 미혹하게 된 원인과업(業)을 짓게 되는 근원, 수행할 때의 마음가짐 등을 설명하고 있는데, 3 · 4권의 내용은 여래장사상 발달사에 있어서도 매우 요긴한 해설이 되고 있다. 제5권무료 슬롯 머신 다운 받기는 수행할 때 풀어야 할 업의 근원이 무엇인가를 밝히고 있다. 풀어야 할 근원적인 업의 매듭은육근(六根) · 주1 · 육식(六識)등이며, 이를 풀어서 깨달음무료 슬롯 머신 다운 받기 들어갈 수 있었던 인연을법회에 참석한 제자들이 체험담무료 슬롯 머신 다운 받기 진술하였다.

제6권무료 슬롯 머신 다운 받기는관세음보살이 중생을 제도하기 위해서 갖가지 몸으로 화현함을 밝히고, 이 사바세계무료 슬롯 머신 다운 받기 깨달음의 세계로 들어가는 가장 쉬운 방법이 관음수행문(觀音修行門)임을 설하였다. 이는 『법화경』과 함께 우리 나라관음신앙의 유포에 크게 영향을 준 부분이기도 하다. 제7권무료 슬롯 머신 다운 받기는 해탈의 문에 들어가는 주문인 능엄다라니를 설하고 그 공덕을 밝히고 있다.

제8권무료 슬롯 머신 다운 받기는 보살의 수행하는 단계로 57위(位)를 설한 뒤 경의 이름을 밝히고,지옥 · 아귀· 축생 · 인간 · 신선 · 천인 · 아수라라는 일곱 갈래의 중생이 생겨난 원인과 그 각각의 생존양상을 설명하였다. 여기서 『화엄경』의 53위와는 달리 사가행(四加行)을 넣어 57위로 한 점이나 중생의 갈래에 신선을 포함시킨 점 등은 이 경무료 슬롯 머신 다운 받기만 볼 수 있는 특이한 점이다. 제9권무료 슬롯 머신 다운 받기는 말세중생이 수행하는 도중에 나타나는 50가지마(魔)에 관해서 그 원인과 종류를 밝혔으며, 제10권무료 슬롯 머신 다운 받기는 오음의 근본을 설하여 경의 본론을 끝낸 뒤 이 경의 공덕과 유통에 관하여 부언하였다.

판본 및 서지사항

이 경에 관한 우리 나라 고승의 주석서로는 고려시대보환(普幻)무료 슬롯 머신B2A5;무료 슬롯 머신C5C42권과카지노 슬롯 머신 규칙C218;카지노 슬롯 머신 규칙B2A52권, 조선시대유일(有一)의 『무료 슬롯 머신 다운 받기사기(楞嚴經私記)』 1권과 의첨(義沾)의슬롯 사이트 슬롯사이트B2A5;슬롯1권 등이 현존하고 있으며, 조선시대에간경도감무료 슬롯 머신 다운 받기 편찬한 언해본을 비롯하여 10개의 판본이 전래되고 있다. 우리 나라의 일부선종(禪宗)사찰무료 슬롯 머신 다운 받기는 이 경의 제7권에 수록된 수능엄다라니를 외우는 것을 매일의 일과로 삼고 있다.

전해 내려오는 가장 오래된 것무료 슬롯 머신 다운 받기는 1235년(고종 22)에 이승광(李勝光) 등이 간행한 것무료 슬롯 머신 다운 받기,해인사에 목판이 전하고 무료 슬롯 머신 다운 받기. 또 1372년(공민왕 21)에 안성청룡사(靑龍寺)무료 슬롯 머신 다운 받기 간행한 판본과 1443년(세종 25)에성달생(成達生)이 발문을 쓴 전라도화암사(花巖寺)판, 1457년(세조 3)에 원나라 유측(惟則)의 무료 슬롯 머신 다운 받기 회해본(會解本)을을해자(乙亥字)로 간행한 것, 1462년에 간경도감무료 슬롯 머신 다운 받기세조의 명으로 번역, 간행한 언해본 등이 무료 슬롯 머신 다운 받기.

그 외에도 1488년(성종 19)의 충청도무량사판(無量寺版), 1489년의 황해도 자비령사판(慈悲嶺寺版), 1547년(명종 2) 황해도 석두사판(石頭寺版), 1559년(명종 14)의 황해도 성숙사판(星宿寺版), 1609년의슬롯 머신 일러스트C870;슬롯판, 1672년(현종 13)의 울산 운흥사판(雲興寺版), 1682(숙종 8)의묘향산 보현사(普賢寺)판, 1692년의 전라도용흥사(龍興寺)판 등이 무료 슬롯 머신 다운 받기.

현존 경판으로는 해인사판 외에 1609년(광해군 1)에 송광사무료 슬롯 머신 다운 받기 판각된 것과 1635년(인조 13)에 태인용장사(龍藏寺)무료 슬롯 머신 다운 받기 판각된 것이 남아 있다. 그리고 백용성(白龍城)이 번역한 것을 1922년에 경성(京城) 삼장역회무료 슬롯 머신 다운 받기연활자로 간행한 것이 무료 슬롯 머신 다운 받기.

참고문헌

『무료 슬롯 머신 다운 받기불교소의경전연구』(이지관, 보련각, 1973)
『무료 슬롯 머신 다운 받기』(이운허 역, 법보원, 1963)
주석
주1

육식(六識)무료 슬롯 머신 다운 받기 깨닫는 색(色), 성(聲), 향(香), 미(味), 촉(觸), 법(法)을 통틀어 이르는 말.우리말샘

집필자
이기영(전 동국대학교, 불교학)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무료 슬롯 머신 다운 받기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무료 슬롯 머신 다운 받기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무료 슬롯 머신 다운 받기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무료 슬롯 머신 다운 받기]'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무료 슬롯 머신 다운 받기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