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권 1책. 필사본. 원래 유희의 저술을 모은, 100여권이나 되는 유고(遺稿)인 『문통(文通)』 속에 포함되어 있었던 것이다. 『물명유고(物名類考)』라고도 한다. 현재 원본은 전하지 않고 이를 베껴 쓴 것으로 보이는 국립중앙도서관 소장본, 서울대학교 가람문고본, 일본의 아유가이(鮎貝房之進) 소장본의 세 가지 이본(異本)이 전한다. 그러나 표제어의 순서와 그 풀이에는 거의 차이가 없고 한글표기에서 표기법상에 약간의 차이가 있다
『물보(物譜)』나 『재물보(才物譜)』 등과 마찬가지로 한자로 된 표제어 밑에 한글 또는 한자로 그 물명을 써 놓았다. 유정류(有情類)·무정류(無情類)·부동류(不動類)·부정류(不情類)로 분류하고, 이들을 다시 우충(羽蟲)·수족(獸族) 등의 15개 부류로 분류하였다. 한글로 풀이된 표제어가 모두 1660개나 된 이 책은 이만영(李晩永)이 편찬한 『재물보』의 물보(物譜)와 지보(地譜)에서 그 표제어와 주해를 취사선택슬롯 꽁 머니 정리, 편찬한 것으로 보인다. 물보(특히 권7·8)를 유정류와 무정류로 분류하고 지보를 부동류와 부정류로 분류한 것이다.
국어 어휘연구에 귀중한 자료이다. 아유가이 소장본은 나가마(長間光雲)의 손을 거쳐서 다카하시(高橋亨)에게 기증된 책을 전사(轉寫)슬롯 꽁 머니 1960년∼1961년『조선학보』 제16∼20집에 영인, 수록하였고 이를 경문사(景文社)에서 묶어 다시 영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