슬롯 꽁 머니 경향신문 ()

목차
관련 정보
경향신문 창간호
경향신문 창간호
언론·방송
문헌
천주교에서 애국계몽운동의 일환으로 1906년에 창간한 신문. 천주교신문.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슬롯 꽁 머니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천주교에서 애국계몽운동의 일환으로 1906년에 창간한 신문. 천주교신문.
내용

1906년 10월 19일 천주교에서 애국계몽운동의 일환으로 서울에서 발간한 순한글판 주간신문이다. 발행인 겸 주필은 프랑스인 신부 안세화(安世華, Florian Demange)였다. 외국인을 발행인으로 한 것은 외국인의 치외법권적 지위를 이용슬롯 꽁 머니 통감부(統監府)의 언론탄압을 피하고자 한 방편이었다.

창간사를 통슬롯 꽁 머니 『경향신문』이라는 제호는, 서울백성뿐만 아니라 시골백성에게도 배포슬롯 꽁 머니 전국민을 대상으로 한다는 의도 아래 명명된 것이라 하고, 공정한 보도와 지식의 보급을 그 신문의 사명이라고 밝혔다. 초기에는 타블로이드판 4면과 부록으로 국판 크기의 8면 보감(寶鑑)을 발행하였으며, 이듬해 10월 18일 제53호부터는 판형을 바꾸어 오늘날의 신문 크기와 비슷하게 발행되었다.

제1면에 주로 일일특보(日日特報)라 슬롯 꽁 머니 국내의 주요 기사 및 시사문제에 관한 논설과 국내외 소식, 문예작품, 계몽적인 기획물들이 실렸고, 부록인 보감은 시사성을 띤 신문기사와는 다른 성격의 교리적인 논설, 한국천주교교회사, 중요한 법률해설 등으로 꾸며졌다.

기사나 논설은 독자들로부터 비교적 좋은 평을 받았으며, 논설은 당시 대표적인 일간슬롯 꽁 머니이었던 『대한매일신보(大韓每日申報)』에 전재되기까지 하였다.

취재와 편집에 절대적인 기여를 한 사람은 1882년 말레이시아(Malaysia)페낭(Penang)의 신학교에 유학하였던 한국인 신부 김원영(金元永)으로서, 『경향신문』이 창간되자 신문의 편집과 실무를 맡았다. 지방소식은 주로 전국 각처에서 활동하는 신부들이 제공하였으며, 보급에 있어서도 교회당국이 지원슬롯 꽁 머니 독자를 확보하였다. 1907년도 기록에 의하면 4,200명의 정기구독자를 확보한 것으로 알려졌다.

1910년 4월 22일자 제184호가 「신문지법」에 의슬롯 꽁 머니 치안방해라 슬롯 꽁 머니 발매금지 및 압수를 당하기도 하였다. 1910년 국권을 탈취당하자 폐간의 위협을 받게 되었으며, 그 해 12월 30일 종간호(제220호)를 내고 제221호부터는 『경향잡지(京鄕雜誌)』라 개제슬롯 꽁 머니 월 2회 발간의 잡지로 변경되었다.

참고문헌

『슬롯 꽁 머니신문백년지』(윤임술 편, 슬롯 꽁 머니언론연구원, 1983)
『슬롯 꽁 머니언론사연구』(정진석, 일조각, 1983)
『슬롯 꽁 머니신문사연구』(이해창, 성문각, 1971)
『경향슬롯 꽁 머니(京鄕新聞)』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박정규(청주대학교, 언론학)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슬롯 꽁 머니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슬롯 꽁 머니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슬롯 꽁 머니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