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문도뱃노래 (슬롯 꽁 머니)

목차
관련 정보
거문도 뱃노래
거문도 뱃노래
국악
작품
국가유산
전라남도. 거문도의 어민들이 고기를 잡으며 부르는 노동요의 하나.
시도무형유산
지정 명칭
거문도슬롯 꽁 머니(巨文島슬롯 꽁 머니)
분류
무형유산
지정기관
전라남도
종목
전라남도 시도무형유산(1972년 01월 29일 지정)
소재지
전라남도 여수시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전라남도. 거문도의 어민들이 고기를 잡으며 부르는 노동요의 하나.
내용

전라남도 거문도의 어민들이 고기를 잡으며 부르는 노동요의 하나.

<고사슬롯 꽁 머니> · <술비슬롯 꽁 머니> · <놋슬롯 꽁 머니> · <월래슬롯 꽁 머니> · <가래슬롯 꽁 머니> · <썰슬롯 꽁 머니>가 있다.

<고사슬롯 꽁 머니>는 고기잡이 배가 떠나기 전에 풍어(豊漁)를 비는 의식요인데, 자진모리장단으로 길게 엮어 부른다.

<술비슬롯 꽁 머니>는 배의 밧줄을 꼬면서 부르는 슬롯 꽁 머니이다. 이 슬롯 꽁 머니를 <술비슬롯 꽁 머니>라고 함은 ‘에이야라 술비야’ 하고 받는 데서 나온 것이다. 이 슬롯 꽁 머니는 3분박(三分拍)의 보통 빠른 3박자로 세마치장단에 맞는다.

선슬롯 꽁 머니꾼이 두 장단을 메기면 어부들이 ‘에이야라 술비야’ 하고 받는다. 선율의 구성음을 편의상 서양음악의 계이름으로 표시한다면 ‘솔 · 라 · 도 · 레 · 미’로 되어 있는데, ‘솔’로 마치는 5음음계로 평조인 경토리로 되어 있다. 웅장하고 씩씩한 느낌을 준다.

<놋슬롯 꽁 머니>는 어부들이 배를 타고 노를 저어 들고 나며 부르는 슬롯 꽁 머니이다. 이 슬롯 꽁 머니는 3분박 좀 빠른 4박자로 늦은 자진모리에 맞는다. 도사공(都沙工)이 한 장단을 메기면 어부들이 ‘어야듸야’ 하면서 한 장단을 받는다.

<놋슬롯 꽁 머니>의 선율은 ‘미 · 솔 · 라 · 도 · 레’로 되어 있는데, ‘미’로 마치는 5음의 메나리토리로 되어 있으나 경상도 민요보다 시김새(표현기법)가 단순하고 씩씩한 느낌을 준다.

<월래슬롯 꽁 머니>는 바다에 쳐놓은 그물을 여러 어부들이 힘을 합하여 한 가닥씩 끌어당겨 배에 올려 놓으면서 부르는 슬롯 꽁 머니로, 이 슬롯 꽁 머니를 <월래슬롯 꽁 머니>라고 함은 이 슬롯 꽁 머니의 뒷슬롯 꽁 머니가 ‘월래보자’라고 하는 데서 나온 것이다.

‘월래보자’라고 함은 올려 보자라는 말에서 나왔다고 한다. 도사공이 한 장단을 메기면 어부들이 ‘월래보자’ 하고 받는다. 선율의 구성음은 ‘미 · 솔 · 라 · 도 · 레’로 되어 있는데, ‘미’로 마치는 5음의 메나리토리로 되어 있고 씩씩하게 들린다.

<가래슬롯 꽁 머니>는 그물에 걸려 들어온 고기를 가래로 퍼담으며 부르는 슬롯 꽁 머니이다. 이 슬롯 꽁 머니는 3분박 좀 빠른 3박자로 세마치장단에 맞는다. 도사공이 두 장단을 메기면 어부들이 두 장단을 ‘어낭성 가래야’ 하고 받는다. 선율은 <놋슬롯 꽁 머니>와 같이 5음의 메나리토리로 되어 있다.

<썰슬롯 꽁 머니>는 만선이 되어 들어오며 부르는 슬롯 꽁 머니라고 하는데, 기능은 다른 고장의 <배치기슬롯 꽁 머니>와 같다. 전국민속예술경연대회에 출전하여 입상했으며, <거문도뱃노래>라는 이름으로 세상에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 1972년 전라남도 무형문화재(현, 무형유산)로 지정되었다.

참고문헌

『한국의 민속예술』(슬롯 꽁 머니예술진흥원, 1978)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슬롯 꽁 머니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슬롯 꽁 머니]'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